[News]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의 국새가 46만에 한국으로 돌아온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아 임정의 국새가 한국으로 돌아온다. 임정 임시의정원 의장 및 국무령을 지낸 만오 홍진 선생의 손자며느리인 신창휴씨는 최근 동아일보와의 단독 인터뷰에서 “홍진 선생의 동상이 국회에 건립되는 날 남편이 보관해 온 임시의정원 관인을 국회에 기증할 것”이라고 밝혔다.大韓民國 三年(1921년) 一月 一日 임시정부급 임시의정원 신년축하식 기념촬영 / 이미지 출처-네이버이미지 검색이 관인은 오늘날 국회 격인 임시의정원의 각종 공문서에 찍었던 도장으로 임정 임시헌법 조항으로 볼 때 임정의 정통성을 상징하는 국새 가운데 하나에 해당한다. 손자 며느리인 신씨가 동아일보에 공개한 이 관인은 검은색 목제도장으로 ‘臨時議政院印(임시의정원인)’이라고 새겨졌다. 손자 홍석주씨는 “할아버지(홍진)가 1945년 충칭에서 갖고 돌아왔다. 1919년부터 의정원 인장으로 쓰인 임시의정원인”이라고 설명한 문서를 남겼다. 그는 각고의 노력 끝에 이 관인을 온전히 간직해 왔으며, 1973년 미국 이민 뒤에도 조부의 업적이 제대로 평가받길 바라며 여러 차례 관인을 한국에 기증하려 했지만 뜻을 이루지 못하고 2016년 87세로 눈을 감았다. 1919년부터 쓰인 \'임시의정원印\' / 이미지 출처-동아일보아내인 신씨에 따르면 남편 홍씨는 이 도장을 목숨처럼 지켰다. 6.25전쟁, 일본유학(교환교수), 미국 이민 등 중요한 일이 있을 때마다 항상 몸에 지니고 다녔다고 한다. “남편이 6.25정쟁 피란 당시 도장주머니를 베개에 돌돌 말아 넣고 잠을 잘 때도 그 베개만 썼다. 가족들에게도 도장이 어디에 있는지 알리지 않았다.”고 전했다. 홍석주씨가 가족에게 남긴 도장과 문서 원본에는 “영구 가보로 보관할 것, 햇볕과 습기에 쬐이지 말 것”이란 당부사항과 설명이 빼곡했다. ‘임시의정원인(臨時議政院印)’이라고 새겨진 가로 5cm, 높이 6cm의 검은색 목재 도장에는 ‘1919년부터의 의정원 인장’이라는 설명이 있었다. 홍씨는 이 문서에 “임시의정원인은 1919년 4월 임시의정원 수립 때부터 유일한 도장으로 임시정부 및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상징한다”며 “가장 중요한 것”이라고 적었다. 만오 홍진 선생의 손자며느리 신창휴씨18일 미국 동무 모처에서 동아일보와 채널A에 단독 공개한 임시정부 의정원 관인 등 도장 4개를 손으로 가리키고 있다. / 사진 출처-동아일보‘홍진(洪震)’이라고 새겨진 옥돌로 만든 작은 도장에는 ‘관용’ 및 ‘공문서’에 쓰였다는 말도 있었다. 이 외 만오 선생이 1919년 4월 중국으로 망명하기 전 법관과 변호사로 일하며 썼던 그의 본명 홍면희(洪冕熹)가 새겨진 도장, 또 다른 호 ‘만호(晩湖)’가 새겨진 도장도 1점씩 있다. 임시정부 연구의 권위자인 한시준 단국대 교수는 “임정에서 행정부 수반(국무령)과 입법부 수반(임시의정원 의장)을 모두 지낸 분은 홍진 선생이 유일하다”며 “가장 오랜 기간 의장으로 활동하며 의회정치의 기틀을 닦은 분”이라고 설명했다. 1943년 중국 충칭에서 열린 재중자유한인대회에서 총주석 자격으로 연설하는 만오 홍진 선생의 모습. 한시준 단국대 교수 제공 / 사진 출처 - 동아일보1877년 명문가 후예로 태어난 홍진 선생은 1904년 법관양성소를 졸업하고 평양에서 변호사로 일했다. 1919년 3·1운동 직후 동지들을 규합해 인천에서 13도 대표자 대회를 개최하고 한성정부를 조직한 뒤 중국 상하이로 망명했다. 그해 9월 한성정부를 법통으로 통합 임시정부가 출범하는 데 큰 기여를 했다. 1921년 5월에는 이동녕 손정도에 이어 임시의정원의 3대 의장으로 선출됐고 이어 1939, 1942년에도 의장에 선출됐다. 한 교수는 저서에서 “홍진 선생이 이념과 당파를 초월한 인물이었기에 좌우익 세력이 참여한 통일의회에서 의장으로 선출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34회임시의정 / 이미지 출처 - 네이버 이미지검색만오 홍진 선생은 임시의정원의 마지막 의장이었고 임정 환국 뒤 의정원을 계승한 비상국민회의 의장으로도 선출됐다. 홍진 선생의 후손이 의정원 관인을 보관하게 된 데에는 이 같은 사연이 있다. 홍진 선생이 1945년 12월 1일 환국하면서 가져온 의정원 문서는 손자 홍석주 씨가 보관하다가 국회에 기증해 1974년 국회도서관이 발간했다. ‘대한민국’이라는 국호가 최초로 규정된 ‘대한민국 임시약헌’(헌법) 개정안 초안(원본)과 건국강령, 광복군 작전보고 등 귀중한 자료들이었다. 임시정부 문서는 이들 자료 말고는 거의 남아있지 않다. 의정원 문서를 온전하게 보존해 후대에 남긴 것 역시 홍진 선생의 큰 공헌으로 평가된다. 홍진 선생은 1946년 9월 9일 병환으로 숨을 거뒀고 장례식은 9월 13일 김구 선생, 이승만 박사를 비롯해 각계 인사가 운집한 가운데 성대하게 거행됐다.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에서 1923년에 사용한 태극기/ 이미지 출처 - 네이버 이미지 검색홍석주씨가 가보로 지켜오던 이 관인은 중국 상하이에서 첫 임시의정원 회의가 열린 지 100주년이 되는 올 4월 10일에 맞춰 기증될 것으로 전망된다. 문희상 국회의장실은 “임정 100주년을 맞는 올해 국회도서관에 임시의정원의 마지막 의장을 지낸 홍진 선생의 흉상을 건립한다”며 “상징적 의미가 큰 4월 10일 전 관인이 고국에 돌아올 수 있도록 흉상 건립을 서두르고 있다”고 밝혔다.2019. 1. 21글씨21 편집실
[News]
덕온공주가 손수 쓴 「자경전기」, 「규훈」 등 총 68점 환수
덕온공주 집안의 한글자료, 고국의 품으로 돌아오다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조선의 마지막 공주인 덕온공주가 한글로 쓴 「자경전기(慈慶殿記)」와 「규훈(閨訓)」을 비롯한 <덕온공주 집안의 한글자료>를 지난해 11월 미국에서 매입해 국내로 들여왔다.<덕온공주 집안의 한글자료>는 윤씨 집안으로 하가(下嫁, 공주가 시집을 감)한 조선 23대 임금 순조의 셋째 딸인 덕온공주(德溫公主, 1822-1844)와 양자 윤용구(尹用求, 1853-1939), 손녀 윤백영(尹伯榮, 1888-1986) 등 왕실 후손이 3대에 걸쳐 작성한 한글 책과 편지, 서예작품 등 총 68점이다.자경전기(慈慶殿記)* 자경전기(慈慶殿記): 1808년 순조가 정조비 효의왕후의 명에 따라 창경궁 자경전에 대해 쓴 책<덕온공주 집안의 한글자료>의 귀환은 국내기관 간 협력을 통한 문화재 환수의 모범 사례로, 문화재청 산하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사장 지건길)과 국립한글박물관이 각자의 전문성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이루어낸 성과다. 국립한글박물관은 유물에 대한 정보를 발견·수집하여 국외소재문화재재단에 제공하였고,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소장자와 접촉과 매입 협상을 통해 유물을 국내로 들여오는 데 성공했다.여사초략(女史抄略)이번에 환수된 자료들은 조선왕실의 한글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들이다. 이중에서도 덕온공주가 아름다운 한글 궁체로 손수 쓴 「자경전기(慈慶殿記)」와 「규훈(閨訓)」이 주목을 끈다. 두 책은 모두 본래 한문으로 쓰여 있던 것을 덕온공주가 한글로 번역해 작성한 자료로, 덕온공주가 쓴 것으로는 이번에 처음 발견되어 희소가치가 높다. 규훈(閨訓)* 규훈(閨訓): 여성들이 지켜야 할 덕목과 예절에 관한 책또한, 이번에 환수된 자료에는 왕실에서 작성한 한글 편지와 왕실 여성들을 위한 한글 역사서도 다수 포함되어 있다. 신정왕후(순조의 세자인 익종의 비이자 헌종의 어머니) 편지* 신정왕후(神貞王后): 조선 제23대 순조의 세자인 익종(翼宗)의 비이자, 제24대 헌종의 어머니한글 편지들은 덕온공주의 어머니 순원왕후가 사위 윤의선(1823~1887)에게 딸의 근황을 묻는 편지를 비롯하여, 신정왕후(추존왕 익종 비), 명헌왕후(헌종 계비), 철인왕후(철종 비), 명성황후(고종 비) 등이 직접 쓰거나 상궁이 대필해서 덕온공주 집안에 보낸 것들이다. 이 중에는 조선 최고의 한글 명필로 알려진 궁중여성 서기 이씨(書記 李氏)가 대필한 편지도 있어 사료적 중요성이 크다.순원왕후(덕온공주의 어머니) 편지한글 역사서에는 「정사기람(正史紀覽)」과 「여사초략(女史抄略)」 등이 있는데, 「정사기람」은 덕온공주의 아들 윤용구가 고종의 명을 받아 왕실 여성들을 위해 쓴 역사책이며, 「여사초략」은 윤용구가 당시 12살이던 딸 윤백영을 위해 여성과 관련된 역사를 발췌해서 작성한 책이다. 정사기람(正史紀覽)이외에도 덕온공주의 손녀인 윤백영의 서예작품이 눈에 띄는데, 윤백영은 일제강점기에 조선미술전람회에서 한글 궁체로 쓴 서예작품으로는 처음으로 입선하였으며, 전통적인 한글 궁체를 현대적인 예술 작품으로 승화시킨 인물이다. 환소군전(桓少君傳이번에 환수된 68점의 한글 자료는 조선 왕실 여성들의 생활 속에서 한글이 의사소통 수단으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줄 뿐만 아니라 왕실에서 사용하였던 아름다운 한글 궁체의 면모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역사적·예술적·학술적 가치가 높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전임연구원을 지낸 국어학자 이종덕 박사는 <덕온공주 집안의 한글 자료>는 기존에 소개된 단편적인 왕실 편지나 소설과는 차원이 다른 자료로서, 왕실 부마 집안의 일괄 자료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왕실인물의 개인적인 삶을 엿볼 수 있어서 역사적 가치가 크다고 환수의 의의를 밝혔다. 문화재청은 <덕온공주 집안의 한글 자료>를 국립한글박물관에 이관하여 더욱 전문적으로 연구,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보도자료 및 사진 출처 : 문화재청2019.01.16글씨21 편집실
[News]
여태명 교수, 페이스북·위챗에서 연말개인경매 개최
한국 서화작품의 시장이 침체된 것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전업서화가들의 생계는 늘 위태로운 상태에 놓여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개인 sns를 통한 개인경매가 개최되어 화재를 모은다. 원광대 여태명 교수는 4년 전부터 매년 연말이 되면, 페이스북과 위챗(중국sns)을 통해 인터넷 경매를 열어왔다. 여태명 교수는 ‘페이스북(위챗) 친구들에게 감사한 마음을 담아 작품경매를 시작 합니다‘라는 문구와 함께 작품, 작품크기와 재료 등을 올려 많은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하여 경매시작을 알렸다. 여태명 作 - 늘 푸른 솔처럼 바위처럼 태양처럼47x42 (페이스북) 1,550,000원 낙찰이번 페이스북 개인경매에 출품된 ‘늘 푸른 솔처럼 바위처럼 태양처럼’ 작품은 2,019원에서 시작된 경매가에서 1,550,000원으로 낙찰되었고, 위쳇에 출품된 작품은 2,019원에서 시작되어 2,019,000원에 낙찰되었다. 여태명 作 - 梅經寒若發淸香66x33 (위쳇) 2,019,000원 낙찰여태명 교수여태명 교수는 원광대학교 미술대학 교수, 중국노신미술대학 객좌교수이며, 지난 2018남북정상회담 표지석의 작가로도 또 한 차례 이슈가 된 바 있다. 한국 서화시장의 침체 속에 ‘온라인 개인경매’는 새로운 변화를 이끌어내는 돌파구이다. 여태명 교수의 개인경매를 시작으로, 한국 서화시장이 더욱 발전하길 기대한다. 2019. 1. 2글씨21 편집실
[News]
‘서예진흥에 관한 법률’ 입법 축하연 개최
‘서예진흥에 관한 법률’ 입법 축하연이 지난 14일 서울 영등포구 공군회관에서 열렸다. 서예인들의 오랜 숙원이었던 서예진흥법이 지난 11월 23일 제364회 정기국회 제12차 본회의에서 통과되었으며, 12월 11일 제정되었고, 내년 6월부터 시행된다.이 날 축하연에는 입법추진위원회 이종선 책임간사의 사회로 진행되었다. 축하연은 입법경과보고를 시작으로 이번 서예진흥법 입법에 크게 힘써준 유성엽 민주평화당 의원과 이동섭 바른미래당 의원에게 감사패를 수여했다. 수여에는 한국서예단체총협의회 공동대표인 윤점용, 강대희 대표가 수고해주었다.(좌) 윤점용 서총 공동대표와 (우) 유성엽 민주평화당 의원(좌) 강대희 서총 공동대표와 (우) 이동섭 바른미래당 의원이어서 서총 김영기 공동대표의 인사말이 있었다. 김영기 공동대표는 “한국서예를 중흥시키기위해 ‘서예진흥법’이 꼭 필요하다는 인식아래 전국의 서예인들이 뭉쳤습니다. 그리고 그토록 갈망하던 서예진흥법이 드디어 만들어졌습니다. 아마로 2019년 새해는 우리 서단에 중요한 해가 될 것 같습니다.”라며 한국서예의 도약을 기약했다.김영기 서총 공동대표 서예진흥법입법추진위원회 권창륜 위원장권창륜 서예진흥법 입법추진위원장은 “우리 서단은 오랫동안 분열을 겪으면서 침체의 늪에서 헤매고 있었습니다. 이런 중 서예단체들이 연합하여 ‘서총’을 결성한 것은 얼마나 다행한 일인지 모르겠습니다. 그동안 어려운 여건에서도 잘 이끌어온 공동대표님들에게 감사를 드립니다. 아울러 실무를 맡아 수고한 이종선 총간사에게도 따뜻한 격려를 보냅니다.”라고 했다.문화체육관광부 도종환 장관한국서예진흥재단 홍석현 이사장단체기념사진이어 도종환 문화제육관광부 장관, 유성엽 민주평화당 의원, 이동섭 바른미래당 의원, 홍석현 서예진흥재단 이사장의 축하인사말이 있었다. 끝으로 참석한 모든 서예인들과 정재계. 문화예술계인들이 함께 기념사진을 촬영하였다.2018. 12. 17취재 김지수 기자
[News]
2018년 한국서예학회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성황리 개최
2018년 한국서예학회 추계학술대회 및정기총회 성황리 개최- 안평대군 탄생600주년 기념 “안평대군 이용의 삶과 예술” -2018년 한국서예학회(회장 김응학)의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가 12월 8일(토) 오후 2시부터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에서 개최되었다. 전국 각지의 서예학자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안평대군(1418-1453)의 탄생 600주년을 기념하여 ‘안평대군 이용의 삶과 예술’을 주제로 진행되었다. 안평대군은 세종대왕의 셋째아들로 조선전기 문화예술방면에서 독보적인 성취를 이루어냈으며, 그의 필적은 원나라 서예대가인 조맹부(趙孟頫)의 송설체(松雪體)와 우열을 다툴 정도로 뛰어나다고 평가되고 있다. 한상일(성균관대) 박사의 사회로 진행된 학술대회에서는 기조강연으로 안휘준(서울대) 교수가 ‘안평대군 - 그의 인물됨과 문화적 기여’라는 주제를 통해 안평대군의 인간상과 문화예술의 업적을 총체적으로 조명하였다. 이어 이기범(경기대) 교수가 ‘당대 사대부들의 시문에 나타난 안평대군의 예술세계’에 대하여, 박병천(경인교대) 교수가 ‘훈민정음과 안평대군 한자서체와의 관계성 고찰’을, 이완우(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가 ‘안평대군의 글씨’에 관하여 심도있게 발표하였다. 종합토론에서는 김광욱(계명대) 교수의 좌장으로 청중들과 패널들의 상호 질의와 토론이 이어졌다. 정기총회에서는 제10대 한국서예학회 회장단의 2년간 사업실적 및 결산보고를 시작으로 신임회장 및 감사 선출이 이어졌다. 결과 제11대 회장에 김광욱(계명대) 교수가 선임되었으며, 감사에 한상일(성균관대)․이정자(동방문화대학원대) 박사가 피선되었다. 신임회장인 김 교수는 한국서예학회의 창립 멤버로 한문학과 서예를 전공했고, 1996년부터 계명대학교 미술대학에 재직했으며,『한국서예학사』 외 다수의 저서와 논문이 있다. 김 교수는 “전임 회장들이 쌓아 놓은 업적을 바탕으로 한국서예학회가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 하겠다.”는 소회와 아울러 “소장학자들의 참여를 유도하여 학문후속세대의 양성을 적극 지원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신임회장 김광욱 교수이번 학술대회는 조선전기의 문화예술방면에서 독보적인 성취를 이루어 낸 안평대군의 삶과 예술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한편 한국서예학회는 1998년에 창립되어 현재 500여명의 회원이 활동하고 있는 우리나라 최고의 서예학술단체로, 매년 6월․12월에 정기 학술세미나를 개최하며 『서예학연구』 (한국연구재단 등재지)를 연간 2회 발간하고 있다. 신임 학회장의 임기는 2019년 1월부터 2년간이다. ※ 학회 회원가입 안내 : https://k-seoye.jams.or.kr/2018.12.14글씨21 편집실
[News]
제 9회 캘리그래피 대전 입상자 발표
(사)광주서예협회(이사장 서재경)가 주최하고 광주광역시가 후원하는 제9회 대한민국캘리그래피대전 심사결과가 나왔다. 총430여점 출품되어 231점이 입상되었다. 최우수상 - 김영헌 作이번 제9회 캘리그래피대전에서는 아쉽게도 대상은 선정되지 않았으며, 최우수상에 김영헌씨가 출품한 나무와 시가 수상, 우수상에는 문진의, 박영재, 승윤경, 이선영, 장문자씨가 선정되었다. 운영위원은 서재경(운영위원장), 김종경, 이경례, 심사위원에는 전한숙(심사위원장), 박정명 송홍범 김명석 서동국 서현정 최민숙 지미정 황재오 윤명희씨가 참여하였다. 입상작은 오는 6월 9일부터 13일까지 광주비엔날레 전시장에서 전시하며 시상식은 6월 19일 15시 광주비엔날레전시장에서 열릴 예정이다.한편 광주서예협회에서 주관하는 \'광주 제3회 서예페스티발\' <전라도 정도천년전>과 <문자 추상전>이 광주비엔날레 전시장에서 입상작 전시와 함께 개최되어 풍부한 볼거리를 제공할 예정이다. 2018. 5. 21글씨21 편집실 <수상자 명단> 최우수상 : 김영헌 우수상 : 문진의, 박영재, 승윤경, 이선영, 장문자 특별상 : 김형식, 박웅찬, 손혜진, 오재영, 이재선, 이화, 임경미, 장미라, 장세비, 정운주, 정현욱 특선 : 강은정, 강진숙, 강화온, 고재완, 김미선, 김미연, 김봉균, 김수례, 김영철, 김지원, 김지혜, 류희정, 민정수, 박경희, 박금자, 박세영, 박수미, 박유진, 선 영, 양미라, 양민도, 양은옥, 이명숙, 이승완, 이유진, 이주희, 이지영, 장석형, 장은영, 조영미, 조영진, 조효제, 주하은, 최병만, 최혜진, 한향미,허혜인, 현길남, 홍성현 입선 : 강맹순(2), 강미선, 강성순, 강정선, 고미영, 고은영, 고재완, 곽미례(2), 곽미숙, 김경주, 김광미, 김문희, 김미경(2), 김미선, 김민자(2), 김민자, 김민정, 김선경, 김선희, 김성경, 김성미,김수강, 김수연, 김수현, 김숙, 김숙희, 김애린, 김연순, 김영헌, 김영휘, 김원아, 김은경, 김은진, 김일심, 김정숙, 김정인(2), 김종선, 김지현(2),김지혜, 김철호, 김행연(2), 김향자, 김혜숙, 김혜원, 김효정, 김희옥, 나보현, 류경숙, 명희, 문선미, 문지영, 박경희, 박금주, 박미연, 박미영,박영미, 박옥인, 박유원, 박윤미, 박재철, 박한숙(2), 박혜영, 박호정, 배소연, 배호봉(2), 백귀선, 백송미, 백윤지, 백혜순(2), 변귀봉,변수정, 부경희, 선영(2), 손미선, 손희생, 송영록, 승윤경, 신남영, 신서영, 신윤정, 신정문, 신효인,양병구, 양영선, 양지수(2), 오남미, 오병희, 오재영, 유미선, 유수정, 유혜림, 윤선애, 윤정란, 윤진덕,이경희, 이계현, 이나영, 이민희, 이성기, 이순남,이승연(2), 이승희, 이영순(2), 이은교, 이정현(2),이종룡(2), 이주희, 이진숙, 이행옥, 이혜영, 이화, 인상용, 임경미, 임윤미, 임채규, 임태란, 장예령, 장은주(2), 장재진, 장현욱, 전길현, 전성문, 전혜순, 정동희, 정미아(2), 정미진, 정소영, 정은수, 정은숙, 정재희, 정현태, 조기라, 조세웅, 조순복(2), 조인형(2), 조호순, 지민정(2), 진민경, 진현경, 차재덕, 차희남,차희남, 천옥임, 최기수, 최성휴, 최은영, 한상빈(2),한연숙, 허영미(2),허홍서, 황선정, 황혜숙
[News]
한 손에 들어오는 캘리그라피 갤러리 ‘캘리어워드’
누구나 캘리그라피를 즐길 수 있는 캘리그라피 소셜미디어인 캘리어워드가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캘리어워드는 연습을 하면서 나오는 습작을 그냥 버리기 아깝다는 캘리그라퍼의 이야기에서 착안해서 만든 앱이다. 이 앱 안에서 작가들은 작품 히스토리, 포트폴리오를 관리 할 수 있고, 다른 사람과 교류하면서 인지도를 쌓아갈 수 있다. 인스타그램과 트위터의 장점을 뽑아내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서 꼭 캘리그라퍼가 아닌 관심이 있는 일반인들도 흥미를 느끼고 캘리그라피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최근 각종 오프라인 행사에서 캘리그라피 부스를 찾아보는 게 어렵지 않고 지하철, 버스, 거리 간판, 각종 브랜드 로고를 보더라도 캘리그라피를 활용하는 것이 대세가 된 지금, 국립한글박물관에서도 「해외 글꼴의 연구·산업 현황 조사(Ⅱ)」를 진행하면서 일본, 중국, 대만 동아시아 3국의 타이포그라피 ㆍ캘리그라피 분야의 시장규모를 포함한 현황을 조사하고 있다. 이러한 캘리그라피의 동향에 맞춰 ‘캘리어워드’는 세계 시장에 캘리그라피를 수출하고, 외국기업에는 한국 문화에 맞는 로고, 상표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로드맵을 구성해서 진행하고 있다. 캘리어워드 명경석 대표는 “새로운 감성과 실력을 갖춘 신인 작가가 얼마든지 나올 수 있도록 공모전을 진행하고 캘리그라피 저변을 넓혀 작품이 단가경쟁으로 몰리지 않고 작가의 스타일과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는 플랫폼으로 만들어 가려 한다”고 밝혔다.(아이폰 앱스토어, 안드로이드 플레이스토어 ‘캘리어워드’ 검색)http://calliaward.com 2017. 12. 29글씨21 편집실
[News]
JTBC 「차이나는클라스」 김병기 교수 ‘사라진 한자, 잃어버린 역사’
전북대 중어중문과 김병기 교수가 JTBC의 인기 교양프로그램 「차이나는클라스」 출연 하였다. 2018년 새해 첫 방송에 출연하게 된 김병기 교수는 ‘사라진 한자, 잃어버린 역사’라는 주제로 1시간 동안 열강을 한다. JTBC 「차이나는클라스」 43회 방송 예고편JTBC 「차이나는클라스」 43회 방송 예고편역사와 전통문화를 잃어가고 있는 대한민국의 현주소를 신랄하게 고발하고, 한자의 재발견을 통해 일제에 의해 변조된 광개토태왕비의 진실을 밝힌다. 일제에 의해 광개도태왕비가 변조되기 전의 원문을 추적해 가는 과정, 복원한 내용에 대한 흥미진진한 강의가 펼쳐진다. JTBC 「차이나는클라스」 43회 방송 예고편JTBC 「차이나는클라스」 43회 방송 예고편JTBC 「차이나는클라스」 43회 방송은 2018년 1월 3일 21:30에 시청할 수 있다. 예고편 보기 ▶ http://tv.naver.com/v/2474249 2017. 12. 28글씨21 편집실
[News]
경기대학교 예술대학원 서예학전공 2017학술세미나 개최
경기대학교 예술대학원 서예학전공(주임교수 장지훈)은 12월 16일부터 2일간 울산에서 재학생 워크숍을 개최하였다. 워크숍은 1일차에 세미나, 2일차에 서예관련 유적 현장답사로 진행되었다. 장지훈 주임교수는 2016학년도 1학기부터 하계·동계 정기세미나를 개최하여 전공의 심화학습과 성취도를 높이고 역대 서예이론 강독을 통해 서예학전공자들의 석사학위논문 준비에 도움을 주고자 세미나를 진행해 오고 있다. 16일 2시부터 6시까지 울산문화예술회관 회의실에서 개최된 세미나는 “위진남북조시대 서론 강독”을 주제로 고대 서론(書論)을 번역 발표하고 내용을 토론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1부는 이기범 교수의 좌장으로 석사4학기 재학생 6명이 삭정(索靖)의 「초서세(草書勢)」, 위삭(衛鑠)의 「필진도(筆陣圖)」, 왕희지(王羲之)의 「서론(書論)」 · 「용필부(用筆賦)」 · 「기백운선생서결(記白雲先生書訣)」, 왕승건(王僧虔)의 「필의찬(筆意贊)」을 발표하였다. 2부는 성인근 교수의 좌장으로 석사2학기 재학생 5명이 왕희지의 「필세론십이장(筆勢論十二章)」을 번역 발표하였다. 17일 오전에는 울산에 소재한 반구대암각화를 관람하고 벼루장인의 공방을 들리는 등 울산의 서예문화를 답사하는 시간을 가졌다. 특히 이번 행사는 경기대학교 예술대학원 소속 교강사 및 대학원생 외에도 계명대 김광욱 교수, 울산대 정주하 강사, 울산미협 김봉석 부지회장 등 울산 및 근교에서도 서예에 종사하는 연구자들이 참석하였다. 경기대학교 예술대학원 서예학전공은 매학기 말경인 6월과 12월에 워크숍을 시행하고 있으며, 역대 서예이론을 시대별로 꼼꼼하게 읽어나가고 되새기면서 서예의 본질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서예정신과 철학을 함양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또한 행사를 통해 예술대학원에 대한 자부심을 제고하고 신입생 유치 홍보를 꾀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2017. 12. 21김지수 기자
[News]
글씨21 청년 정예작가 선발 공모전 결과 발표
지난 11월 24일 글씨21 청년 정예작가 선발 공모가 공표되었다. 글씨21(대표 석태진)은 한국서단의 발전과 청년작가 양성을 위하여 정예작가 선발 공모하였다. 부문은 서예, 캘리그라피, 문인화, 서각, 전각, 서예술에 관련된 전 부문으로 대한민국 국적의 45세 이하 청년이면 누구나 출품 가능했다. 접수 기간은 11월 24일 ~ 11월 30일로 일주일의 기간이 주어졌다. 이 공모전의 특전으로는 수상자로 선정된 작가에게 <글씨21 정예작가 초대전> 개최와 글씨21의 꾸준한 지원 및 관리로 기획전·해외전·초대전 등 글씨21의 소속 작가로 활동 할 수 있는 다양한 특전을 부여한다. 심사위원은 총 4명으로 손창락, 윤종득, 김종건, 장지훈이 참여하였다. 심사방법은 포트폴리오 심사로 진행되었다. 수상자를 가리기 위한 점수 조정, 안배 등의 협의는 없었으며, 특히 손창락 심사위원은 해외 출타중임에도 불구하고 모바일 메신져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심사에 임하는 열의를 보였다. 각 심사위원의 점수내용을 그대로 환산하여 총 3인의 작가가 선발되었다. 글씨21의 첫 청년 정예작가 선발 공모전에는 자유로운 작품규격과 서예술이라는 큰 틀 안에서 다양한 작품들이 출품되었으며, 그 속에서 서예의 밝은 미래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선정된 출품자는 2018년 2월 1일부터 7일까지 인사동 백악미술관에서 전시회를 갖는다.2017. 12. 5글씨21 편집실 윤종득 심사위원의 심사평은 아래와 같다. 심 사 총 평 ‘글씨 21’이 처음으로 모집한 청년작가 선발 공모에 예상보다 많은 작품이 출품되었습니다. 심사위원들은 전체 작품을 대상으로 우선 기본기의 여부에 따라 선발 작가의 범위를 좁혔습니다. 기본 운필에 대한 학습이 부족한 상태에서 조형에 집중한 나머지 깊이감이 결여된 작품이 비교적 많았습니다. 좁혀진 작품들을 대상으로 다시 조형보다는 질감에, 질감보다는 개성에 초점을 두어 작품을 선별했습니다. 또한 고전에 대한 이해와 자기화, 현대 예술 사조에 대한 감각, 서예와 타 장르와의 조응성 등을 고려하여 최종 정예작가 3명을 선발했습니다. 선발 작가는 이완, 이정, 정준식입니다. 우선 이완 작가의 작품에서는 고전에 대한 통찰을 바탕으로 현대적 조형성과 함축성이 돋보이며, 절대적인 허상, 곧 속기에 얽매이지 않으려는 노력이 전해졌습니다. 이정 작가는 치밀한 전통에 대한 이해력을 바탕으로 현대 미술사조 속에서 붓과 먹이 어디에 어떻게 자리매김해야 하는지를 진지하게 고민한 흔적이 돋보였습니다. 정준식 작가는 유려한 운필능력을 바탕으로 한 고전 해석 능력을 갖추었으며, 문인화에서도 시대미감을 접목한 뛰어난 감각을 가지고 있습니다.세 작가 외에도 근소한 점수 차로 선발하지 못해 못내 아쉬운 작품이 여럿 있었습니다. 이 자리를 빌어 위로의 말씀을 전하며 출품해 주신 모든 작가들께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 심사의견을 종합하여 윤 종 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