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서예일품전
전시장 전경7월 22일 목요일부터 28일 수요일까지 일주일간 인사동 백악미술관 1, 2층에서 <한국서예일품전(韓國書藝逸品展)>이 열렸다. 이번 전시에서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서예가들이 한데 모여 서예의 진수를 보여줬으며, 지난 1년간 서예에 매진했던 서예가들의 노고를 고스란히 느껴볼 수 있었다. 초민 박용설 · 酬張少府 王維 · 35×138cm2015년을 시작으로 매년 개최되고 있는 <한국서예일품전>은 그동안 한 번도 쓰이지 않았던 ‘일품(逸品)’이라는 단어를 타이틀로 내걸었다는 점에서 매우 뜻깊다. 마하 선주선 · 陋室銘 劉禹錫 · 75×143cm동양화와 서양화의 예술정신에는 수많은 차이점이 있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극명하게 대비되는 것은 일품(逸品)이라는 용어다. 형사(形似)보다는 신사(神似)를 중시하고 붓놀림 속에 형상을 다 담아낸다는 특징을 가진 일품은 타인과는 구별되는 자신만의 예술을 펼치면서도 무위자연을 지향한다. 죽암 여성구 · 泛菊 栗谷 李珥 · 55×180cm기교가 경지에 오른 신품 너머의 일품을 논하는 것은 예술이란 단지 기교에만 머무르지 않고 보다 고차원의 세계로 확장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일품은 예술적 차원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예술을 창조하는 사람의 인품과 삶의 가치관, 지향점까지 함께 바라보도록 한다는 점에서 최고의 경지라 할 수 있다. 일속 오명섭 · 無題 金時習 · 68×201cm따라서 이번 전시는 작품 감상과 함께 그 작품에 담긴 서예가의 정신과 일품의 경지를 마주하면서 서예가 지닌 아름다움과 본질적 가치를 느낄 수 있는 기회가 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일강 전병택 · 李白 時 · 70×200cm‘질문의 크기가 내 삶의 크기를 결정한다’는 말이 있다. 서예가는 서예의 의미와 정도(正度), 그리고 서예의 본질적 가치에 대해 그 누구보다도 집요하게 질문하고 또 스스로 답을 찾기 위해 평생을 매진하는 사람들이다. 죽림 정웅표 · 송준선생 시 · 34×58cm<한국서예일품전>도 그러한 질문들이 켜켜이 쌓여 이루어졌다. 회원들의 면면을 봐도 어느 한 단체에 치우치지 않고 연령, 인품, 작품 수준, 창작 능력 등을 여러 각도에서 살펴보고 결정한 신중함이 엿보인다. 운대 정해천 · 前尉縣李案少府 · 100×185cm이번 전시는 코로나19의 급속한 재확산으로 힘든 나날을 보내고 있는 사람들에게 큰 위로가 됐다. 과거에 비해 변화의 속도가 매우 빠르고 그 어느 시대보다도 복잡성이 큰 요즘이지만, 언제나 변함없이 고고한 묵향을 머금고 그 자리에 꿋꿋이 서 있는 서예 작품들을 보면서 인생의 본질을 되돌아본다. 동우 최돈상 · 梅月堂詩 · 70×200cm한국서예의 일품을 담고 있는 <한국서예일품전>이 내년에도 변함없는 일품의 정신으로 우리를 찾아와주기를 기대해 본다.2021. 8. 6객원기자 신혜영<전시정보>한국서예일품전전시기간 : 2021. 7. 22(목) ~ 7. 28(수)전시장소 : 백악미술관 1, 2층
제19회 5․18전국휘호대회(공모전) 심사결과 발표
5․18민주화운동 정신을 선양하고 창조적으로 계승, 발전시키며 참신한 인재를 발굴하고자 제19회 5․18전국휘호대회가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공모전으로 추진되었다. 일반부 대통령상 정해정作6월 30일(수)까지 접수를 마감하여 일반부 675점, 학생부 253점 총 928점이 출품, 분야별로는 한글 107점(학생 180점), 한문 412점(학생 46점), 문인화 116점(학생 26점), 현대서예 40점(학생부 1점)이 응모되었다. 일반부 국무총리상 지일령作심사의 공정성을 위해 1차, 2차 심사위원은 지역, 성별 등을 고려하여 구성되었다. 1차 심사는 7월 10일(토)실시하여 학생부는 대상부터 입선까지 결정하였으며 일반부는 특선, 입선을 결정하고 현장휘호대상자(우수상 이상) 2배수를 선정하였다. 일반부 최우수상 신강균作7월 24일(토) 현장휘호대회는 코로나-19방역수칙을 준수하여 실시되었으며 현장휘호대상자는 제한시간 내 검증작과 현장명제휘호작품을 각각 제출하였다. 대회종료 후 심사위원의 심사에 따라 우수이상 작품을 결정하고 채점표에 따라 고득점순으로 대통령상 1점, 국무총리상 1점, 최우수상 3점, 우수상 5점이 각각 결정되었다. 일반부 최우수상 이문석作 일반부 최우수상 김종식作일반부 대통령상에는 대전에 거주하는 정해정 출품자가, 국무총리상에는 광주에 거주하는 지일령 출품자가 최우수상(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및 국가보훈처장상)에는 신강균, 이문석, 김종식 출품자가 각각 선정되었으며 우수상(광주광역시장상 및 전라남도지사상)에는 이윤숙, 문인성, 최지민, 조효제, 김정희 출품자가 각각 선정되었다.학생부 대상 장다은作학생부 대상(국가보훈처장상)에 성서중 3학년 장다은, 인천만수고 1학년 이동진, 광주설월여고 3학년 정민주 학생이 결정되었으며 최우수상(광주광역시교육감상 및 전라남도교육감상)에 풍암중 2학년 정재현, 성덕고 3학년 강서연, 인천남동중 2학년 김아린 학생이, 우수상(광주지방보훈청장상)에는 인천만수고 3학년 이성진, 조대여고 1학년 정신비, 곡성죽곡초 5학년 김강호, 곡성중앙초 6학년 안희라, 정광고 1학년 박예령, 월계중 1학년 김선유 학생이 각각 결정되었다. 학생부 대상 이동진作학생부 대상 정민주作한편, 입상작품전시는 오는 8월 10일(화)부터 8월 16일(월)까지 5․18기념문화관 내 전시실에서 열리며, 시상식은 8월 14일(토) 오후 2시 전시 장소에서 개최된다. 제19회 5․18전국휘호대회(공모전) 운영위원 : 박익정(운영위원장), 곽자애, 김선숙, 노대숙, 신길자, 위기복, 이기범, 조일훈, 허정순, 홍경표심사위원(1차) : 이준형(심사위원장), 강경애, 김남주, 김유영, 김태순, 박소영, 오홍일, 위경애, 이상덕, 이용욱, 이윤화, 장오중, 정무남, 조윤심사위원(2차) : 신경자(심사위원장), 김용남, 장학수, 장혜자, 정재경 2021. 8. 6자료제공 : 5·18민주화운동부상자회 / 글씨21
제19회 울진봉평리신라비 전국서예대전 입상자 발표
심사 현장 사진역사적 사료로서의 중요성은 물론 예술적 가치가 높은 신라시대 금석물(AD 524년, 국보 제242호) 울진봉평리신라비를 널리 홍보하고, 서예술을 통한 전통문화의 계승·발전에 기하고자 개최하는 제19회 울진봉평리신라비 전국서예대전 입상자가 지난 7월 14일에 발표되었다. 대상 김미숙 作제19회 울진봉평리신라비 전국서예대전은 7월 2일(금)에 접수를 마감하고 7월 8일(일)에 울진국민체육센터에서 심사가 진행되었다. 최우수상 전종식 作공모 부문은 한글 · 한문 · 문인화로 이루어졌으며 총 321점이 출품되고 235점이 입상하였다. 우수상 김윤현 作대상에는 김미숙(문경, 문인화) 출품자가 선정되었으며 최우수상에는 전종식(울진, 한문) 출품자가 선정되었다. 이어 우수상에 김윤현(문인화), 강나윤(한글), 정도범(한문), 오관식(한문) 출품자가 입상하였다. 우수상 강나윤 作삼체상에는 김응철 출품자 외 6명이, 특선에는 김명옥 출품자 외 40명이, 입선에는 강분하 출품자 외 166명이 입상하였다. 우수상 정도범 作제19회 울진봉평리신라비 전국서예대전을 주최한 울진문화원은 서예대전 외 성류문화제, 산해문화상 등 다양한 문화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우수상 오관식 作한편 수상작 전시는 매년 10월 초에 개최되는 성류문화제 행사에 따라 진행된다. 2021. 8. 11자료제공 : 울진문화원 / 글씨21 제19회 울진봉평리신라비 전국서예대전 입상자 명단 □ 대 상 <문인화> 김미숙(문경)□ 최우수상 <한 문> 전종식(울진)□ 우 수 상 <문인화> 김윤현 <한글> 강나윤 <한문> 정도범, 오관석□ 삼 체 상 : 7명 <문인화> 김응철, 류병수, 정미화 <한글> 강규자, 이문석 <한문> 박영옥, 배재용□ 특 선 : 41명 (문인화: 9, 한글: 4, 한문: 28) <문인화> 김명옥 외 8명 <한 글> 박영희 외 3명 <한 문> 권도현 외 27명□ 입 선 : 167명 (문인화: 33, 한글: 25, 한문: 109) <문인화> 강분하 외 32명 <한 글> 강숙자 외 24명 <한 문> 강창수 외 108명
조용연 전각 초대전
전시장 전경일백헌 전각전 두 번째 청년작가로 초대된 조용연의 전각전이 지난 7월 21일(수)부터 7월 27일(화)까지 일백헌 전시2관에서 열렸다. 조용연은 원광대학교 서예과를 졸업 후 옹언글씨 연구소를 설립하여 교육과 창작을 아우르고 있다. 조용연의 활동은 서예, 캘리그라피 등에 한정되어 그간 발표를 해왔기 때문에 전각에만 집중하여 개최된 전시는 이번이 처음이 아닐까 싶다. 조용연을 캘리그라피 작가로만 알고 왔었던 관객들의 시선도 다양하다. 작가의 다재다능한 끼를 한껏 발산할 수 있었던 전시임과 함께 전각의 매력에 푹 빠져볼 수 있었던 귀한 전시였다. 작가 스스로 전각에 대해서 얘기했듯 전각은 작가의 감정을 차가운 돌에 온기를 불어넣는 문자예술이다. 조용연의 전각에서는 차분함과 정갈함, 그리고 사람냄새가 난다. 모든 예술이 다 그렇지만 차고 단단한 석면에 칼을 휘두름에도 그 향기를 느낄 수 있다는 것이 참 재미있는 현상이다. 다만, 인장의 결정체가 인장의 몸체가 아니라 붉은 인주로 낙인된 문자조형임을 확인해 주었으면 하는 바람이 못내 아쉽다. 본 전시를 통해 전각예술이 대중에게 한 걸음 더 가까이 가는 계기가 되었길 바라며 세 번째 청년작가로 초대된 정준식 전각전도 기대해 볼 만하다. 2021. 8. 10영상 제공 : 픽쳐짠 / 글씨21<전시정보>조용연 전각전전시기간 : 2021. 7. 21(수) ~ 7. 27(화)전시장소 : 일백헌 전시2관 (서울 종로구 북촌로11가길 1)
정준식 전각 초대전
전시장 전경정준식 작가일백헌 전각전 세 번째 작가로 초대된 정준식의 전각전이 지난 7월 28일(수)부터 8월 3일(화)까지 일백헌 전시2관에서 열렸다. 정준식은 대전대 서예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에서 석사를 마쳤다. 작가 정준식은 문인화, 서예 분야에서 탁월한 작업을 선보여 왔으나 전각 분야에서는 비교적 노출이 덜 되어있는 작가이다. 노출이 덜 되어 있다는 것은 글씨나 그림에 비해 발표할 기회가 없었다는 것이지, 그의 기량을 낮추어 말하는 것은 아니다. 서, 화, 각 어는 한곳에 머물지 않고 상호 보완하여 표현되는 작업들은 화중유서(畵中有書)하고 서중유각(書中有刻)이 충분히 베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나아가 한인풍의 인풍을 모본으로 하되 현대적 세련미를 가미하고자 하는 고심이 엿보인다. 다만, 각 인장들의 컬러가 다양하게 노출된 것은 작가의 생각이 그만큼 복잡하다는 증거이다.지극히 정상적인 과정이지만 또한 지극히 조심해야 할 부분이다. 정준식 작가의 앞으로의 행보가 기대되는 전시였다. 2021. 8. 10글씨21<전시정보>정준식 전각전전시기간 : 2021. 7. 28(수) ~ 8. 3(화)전시장소 : 일백헌 전시2관 (서울 종로구 북촌로11가길 1)
2021 소암기념관 소장품전 <길 위의 묵취(墨趣)>
전시장 전경서귀포시 소암기념관 소장품전 <길 위의 墨趣(묵취)>가 7월 29일(목)부터 9월 26일(일)까지 기념관 전시실에서 개최된다. 一轉(일전, 마음을 새로이 먹거나 다짐) · 33×129cm · 1983 이번 전시는 소암기념관 소장품 중 소암 현중화 선생의 서예작품을 통해 표현된 ‘길’이라는 주제의 다채로운 의미를 찾아보고자 기획되었으며, 약 40여 점의 작품들이 전시된다. 難易在心(난이재심, 어렵고 쉬움은 마음먹기에 달려있다) · 33X124cm · 1972전시는 세 가지의 주제로 나누어 구성된다. 첫째는 새로운 길을 준비하는 마음가짐과 각오를 담은 작품들, 둘째는 길 위에서 마주친 풍경, 사람, 정취(情趣)를 표현한 작품들이며 셋째는 여정의 끝에서 성취한 깨달음을 담은 작품들을 소개한다. 可以東西(가이동서, 동쪽으로도 서쪽으로도 갈 수 있다) · 33×135cm · 1966대표적인 작품으로는 <一轉(일전), 마음을 새로이 먹거나 다짐>, 유성룡이 학문의 길에 대해 적은 <細雨孤邨暮(세우고촌모)>, 이백이 가을밤의 여정을 읊은 <峨眉山月歌(아미산월가)>, <般若(반야), 모든 진실을 파악하는 지혜> 등으로 소암 현중화 선생의 다양한 서체를 감상할 수 있다. 細雨孤邨暮(세우고촌모, 유성룡이 학문의 길에 대해 쓴 시) · 69.5×202cm · 1993전시 관람은 인터넷 사전예약 및 현장입장을 병행하며, 관람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8시까지, 입장마감은 오후 7시 30분이다. 현재 방역지침에 따라 5인 이상의 단체관람은 불가능하다. 서귀포시 관계자는 “지금의 어둡고 험난한 상황 속에서 <난이재심(難易在心), 어렵고 쉬움은 마음먹기에 달려있다>라는 의미의 작품처럼,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이 어떤 것인지 이번 전시가 나침반의 역할을 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밝혔다. 2021. 8. 12자료제공 : 소암기념관 <전시정보>2021 소암기념관 소장품전<길 위의 묵취(墨趣)>전시기간 : 2021. 7. 29(목) ~ 9. 2(일)전시장소 : 소암기념관 전시실(제주 서귀포시 소암로 15)
제2회 대한민국 전통예술 전승축제
(사)대한민국전통예술전승원이 주최하고 문화재청이 후원하는 <제2회 대한민국 전통예술 전승축제>가 오는 8월 21일(토)부터 29일(일)까지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에서 개최된다. <대한민국 전통예술 전승축제>는 서화 전통 예술 명인들의 작품을 전시하여 본질 미를 알리고, 각 분야 청년작가들의 작품 경향을 소개하면서 미래 서화 예술의 발전 방향을 탐색하는 대한민국전통예술전승원의 대표 축제다. 명인 초대 전시는 전적이나 사적을 바탕으로 서화 명인의 맥을 이어가는 현존 명인작가를 선정하였으며, 서화 분야의 명인으로는 오용길(한국화), 강현식(한국화), 전도진(서예), 김정묵(서예), 공영석(문인화), 이규완(민화) 작가가 초대되었다. 청년작가 전시에서는 <제2회 2021 대한민국전통예술전승원 청년예술가 공모전>에서 선발된 장영은(한국화), 진희란(한국화), 정준식(문인화), 이연주(한글), 김남훈(한문), 박성호(한문), 이완(한문), 진승환(한문), 김여진(민화), 안지현(민화), 한지연(민화) 작가의 작품이 전시된다. 한편, (사)대한민국전통예술전승원은 전통예술의 전승과 계승을 목적으로 2015년 문화재청 산하 법인단체로 출범하여 국내외 공연을 통해 전통예술의 우수성을 널리 선양한 바 있다. 이번 축제는 법고창신(法古創新)의 정신을 기조로 기획되었으며, 코비드 펜데믹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들을 위로하고 치유하고자 하는 염원을 담았다. 개막식은 8월 22일(일) 17시에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에서 개최되며, 19시에는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전승축제 공연 ‘쾌유재快癒齋, 同苦同樂’이 진행된다. 2021. 8. 18글씨21 <전시정보>제2회 대한민국 전통예술 전승축제전시기간 : 2021. 8. 21(토) ~ 8. 29(일)전시장소 :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관람시간 : 10:00 ~ 19:00(※ 매주 월요일 휴관, 29(일) 12:00까지 관람 가능)개막식 : 2021. 8. 22(일) 17:00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공연일시 : 2021. 8. 22(일) 19:00국립국악원 예악당주최 : (사)대한민국전통예술전승원문의 : 02-580-1300
2021 청년의 선택, 미래한국서예전 심사 결과 발표
심사 현장 사진(사)한국서가협회(이사장 한태상)가 주최한 「2021 청년의 선택, 미래한국서예전람회」에서 조용연과 윤영석 신예 작가 두 사람이 영예의 초대작가상에 선정되었다. 초대작가상 조용연 作조용연 작가는 원광대학교에서 서예를 전공하고 다양한 서체를 구사하면서 개인전을 6회나 여는 등 꾸준히 작품 활동을 해온 실력파이며, 윤영석 작가는 대구예술대학교에서 서예를 전공하고 북경 중앙미술대학교 서법석사를 취득하였으며 한문 서예는 물론이고 한글, 문인화, 전각에도 뛰어난 예술적 경지를 보여 주면서 왕성한 작가 활동을 하고 있다. 초대작가상 윤영석 作대상은 이우진과 김남훈 2명, 우수상은 김학조 이승호 홍순형 3명, 특선은 성기현 작가가 받았는데 초대작가상을 받은 사람들을 포함하여 이들 대부분이 대학에서 서예를 전공한 후 청년작가로서 오로지 서예의 길을 걷고 있는 미래 한국서예의 새로운 희망을 가져올 재원들이다. 현장 휘호 전시 (갤러리미래)「2021 청년의 선택, 미래한국서예전람회」 입상자는 13명의 쟁쟁한 작가들이 참여하여 1차 포트폴리오 심사를 통과한 8명이 현장 휘호를 하고 공정한 심사를 위해 관람객 현장투표 20%, (사)한국서가협회 초대작가 문자투표 30%, 전문심사위원단 점수 50%를 반영하여 최종 결정하였다. 한태상 이사장은 \'이번 청년작가 선발을 위한 미래한국서예전람회를 지속적으로 개최하여 한국 서단의 발전을 위한 튼튼한 초석을 다지겠다\'고 밝혔다. 2021. 8. 20자료제공 : (사)한국서가협회 2021 청년의 선택, 미래한국서예전 심사 결과 ■ 초대작가상 윤영석 조용연■ 대상 김남훈 이우진■ 우수상 김학조 이승호 홍순형■ 특선 성기현 [운영위원]대회장 한태상위원장 한태상위원 이화자 한윤숙 김진영 정헌만 김수홍 김환희 박귀준 [심사위원]위원장 박영진위원 김영선 양상철 최순자 유혜선 조순길
팔령후 서예전 일곱 번째 이야기
전시장 전경팔령후 서예전 일곱 번째 이야기가 8월 18일(수)부터 8월 24일(화)까지 인사동 갤러리 라메르에서 열린다. 한결 김윤주 · 반야심경 · 29×21cm고담 김정환 · 李滉詩 錦江亭 · 200×35cm×2작년 여섯 번째 이야기는 코로나19로 인해 지상전으로 개최되어 80후의 일곱 번째 서예전을 반기는 관람객들의 발걸음이 이어졌다. 호연 김현민 · 부귀도 · 60×70cm심민 박성호 · 韓龍雲詩 蝴蝶 · 80×53cm1980년대 이후에 태어나 5개 대학(경기대, 계명대, 대구예술대, 대전대, 원광대)에서 서예를 전공한 회원들로 구성된 80후는 서예 전공 2세대들로서 한국서단에서 남다른 관심과 주목을 받고 있다. 갈빛 손현주 · 릴케 시 인생 · 78×50cm대솔 이광호 · 윤동주님의 시 별헤는밤 · 156×70cm80후 회장 채송화 작가는 ‘모든 예술은 현시대의 상황과 그 때에 느끼는 자연스러운 감정을 感物吟志하여 작품에 投影해 낼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것이 곧 진정한 예술가의 자세와 정신일 것이며, 80후 회원들도 그런 마음가짐을 갖고 작품에 임했을 것입니다.’라고 전시 서문을 열었다. 우석 이대근 · 어떤 것들 · 63×45cm우현 이동하 · 孔子句 · 100×20cm×2청람 이신영 · 吾心似秋月 · 81×32cm한국서예의 청년세대를 대표하는 80후는 젊은 나이에도 역량과 기품을 갖추고 있으며 각자의 개성을 필묵으로 풀어내는 독자성과 차별성 또한 확보하고 있다.연천 이종암 · 龜峰詩 · 135×70cm홍구헌 정의방 · 行百里者 半九十里 · 70×200cm보인 채송화 · 形容 - 二十四詩品 · 140×75cm팔령후 일곱 번째 전은 한국서단의 미래를 가늠하고 희망을 엿볼 수 있는 전시였으며, 끊임없이 성장할 80후의 행보가 기대된다. 2021. 8. 20글씨21 <전시정보>팔령후 서에전 일곱 번째 이야기전시기간 : 8. 18(수) ~ 8. 24(화)전시장소 : 갤러리 라메르 3층 전관 (서울 종로구 인사동5길 26)
광개토대왕비 -필혼을 깨우다- 展
사단법인 한국서예단체총연합회(회장대행 김영기)가 주최하는 <광개토대왕비 -필혼을 깨우다->展이 오는 9월 3일(금)부터 10월 30일(토)까지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에서 열린다. <광개토대왕비 -필혼을 깨우다->展은 우리 민족 최대 최고의 역사 기록문화유산인 광개토대왕비문을 재조명하고, 전 국민에게 광개토대왕비에 대한 중요성과 새로운 미의식을 고취하는데 목적이 있다. 참여작가는 국내 유명 서·화·전각가 300인 이내로, 문자의 의미에 대한 재해석과 비문 서체에 담긴 필혼을 작품을 통해 조명할 예정이다. 광개토대왕비는 고조선 한 민족의 성지에 세워진 최대 최고의 비석으로, 광개토대왕비문 서체는 중국 서체와는 구별되는 소박 하고 진박한 감성을 지닌 독특한 서체이다.전시에서는 이 필혼을 깨워 ‘필의로 보는 한국인의 서체’를 국민들에게 알리고자 한다. 전시 기간 중에는 학술발표를 통해 전시를 더욱 풍성하게 만들 예정이다. ‘광개토태왕릉비의 서예금석학적 재검토-김양동’, ‘광개토호태왕비의 탁본과 서체 고찰-곽노봉’, ‘광개토태왕비 辛卯年紀事와 己亥年紀事 正解와 역사연구의 자세-김병기’ 학술 발표가 준비되어 있어 기대를 모은다. 2021. 8. 24글씨21 <전시정보>광개토대왕비 -필혼을 깨우다- 展전시기간 : 2021. 9. 3(금) ~ 10. 30(토)전시장소 :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 전관주최 : (사)한국서예단체총연합회후원 : 문화체육관광부, 국회사무처, 한국서예진흥재단, 예술의전당